pISSN: 1598-0383

한중인문학연구, Vol.72 (2021)
pp.339~365

DOI : 10.26528/kochih.2021.72.339

나다:나오다’와 ‘出:出來’의 대조 분석 연구

탄샤오루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수료)

권문화

(호남대학교 한국어학과 조교수)

이정희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 교수)

본고에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유의어 쌍 ‘나다:나오다’의 의미를 구별하여 사 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나다:나오다’ 그리고 그와 대응되는 중국어 유의어 쌍 ‘出: 出來’의 의미 성분 분석 및 의미적 선호 분석을 진행하였다. 한국어교육학적인 유의어 개념에 기반해 ‘나다’와 ‘나오다’의 의미 중 ‘출현’의 의미를 가진 항목들을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의미 성분을 분석한 후 더 명확한 의미 차이를 밝히기 위해 말뭉치를 활용한 의미 선호 대조 분석 을 진행하였다. 동시에 대응되는 중국어 유의어 쌍 ‘出:出來’와의 대조를 통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나다:나오다’의 의미 변별 시 겪는 어려움을 제시하였다. 3장의 의미 성분 분석 결과 사전에서는 ‘나오다’는 ‘出來’와 대역되고 있지만 ‘나다’와 의미가 더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명확히 밝히기 위해 4장의 의미 선호 분석을 진행한 결과, ‘나다:出’과 ‘나오다:出來’의 대역 관계는 공기 명사의 의미에 따라서 달라지며 ‘出:出來’는 ‘나다:나오다’ 만큼 의미 차이가 명확하지 않다. 이에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유의어 교수· 학습 과정에서 ‘나다:나오다’는 제시하는 단계에서부터 유의하여 설명해야 하고 사전을 활용 한 의미 분석법 외에 모어인 중국어와의 대조, 말뭉치를 활용한 용례 검색 등의 방안을 제안 하였다.

A Contrastive Study of ‘나다:나오다’, ‘出:出來’

Tan, Xiaoru

Quan, Wenhua

Lee, Junghee

This study argued a method for Chinese Korean learners to distinguish and use the meaning of the Korean synonym pair ‘나다:나오다’. The semantic component analysis and semantic preference analysis of the Chinese synonym pair ‘出:出來’ corresponding to ‘나다:나오다’ was conducted. Based on the concept of synonyms in Korean educational linguistics, items with the meaning of ‘appearance’ were selected among ‘나다’ and ‘나오다’. Then, after analyzing the semantic components, in order to show more clear meaning differences, a comparative analysis of semantic preference is made by using corpus. At the same time, the contrast with the corresponding Chinese synonym pair ‘出:出來’ experienced the difficulties that Chinese Korean learners face in differentiating the meaning of ‘나다:나오다’. As a result of the semantic component analysis in Chapter 3 showed that ‘나오다’ is a substitute for ‘出來’, but the meaning is more similar to ‘나다’. As a result of the four semantic preference analysis to clarify this phenomenon, the corresponding translation relations between ‘나다:出’ and ‘나오 다:出來’ depends on the class of meanings of co-occuring nouns and the semantic differences of ‘出:出來’ is not as clear as ‘나다:나오다’. Therefore, in the learning and teaching process of synonyms for Chinese Korean learners, ‘나다:나오다’ should be explained carefully from the stage of presentation, and sematic differential technique using a dictionary, there are other methods such as contrasting with native Chinese and searching for examples using a corpus.

Download PDF list




[02876] 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교로 16길 116(삼선동2가) 한성대학교 인문대학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이은희 교수 연구실 내     개인정보처리방침
TEL : 02-760-4381    E-mail : kochih@hanmail.net
COPYRIGHT ⓒ 한중인문학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