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598-0383

한중인문학연구, Vol.85 (2024)
pp.89~113

DOI : 10.26528/kochih.2024.85.089

구어성 분석 기준에 대한 한중 대조 연구

이근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박사과정 수료)

본 연구는 음운·형태론, 어휘론, 통사론, 담화·화용론 등 다양한 차원에서 한중 구어성 분 석 기준의 차이를 살펴보고, 이러한 차이가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구어체와 문어체 구분 사용에 어떤 부정적인 전이를 일으켰는지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음운·형태론적 차원에서 한 국어는 형태적 변이형을 구어성 분석 기준으로 삼을 수 있으나, 중국어에는 이러한 기준이 동일하게 적용되지 않는다. 어휘론적으로 거시적인 차원에서는 한국어는 어원에 따라 구어적· 문어적 경향을 보이지만, 중국어는 한자의 수량에 따라 구어성과 문어성이 구분된다. 미시적 인 차원에서는 한국어의 종결어미와 중국어의 어기사(语气词)를 통해 차이를 분석하였다. 통 사론적으로 한국어는 격조사 생략과 단형 부정이 구어성의 기준이 되지만, 중국어는 어순과 부정사 형태에서 구·문어체 구분이 드러나지 않는다. 담화·화용론적 차원에서 한국어는 청자 유무에 따라 ‘청자를 의식한 표현’이 강한 구어성을 나타내는 것과 달리 중국어는 높임법이 발달하지 않아 이러한 구어성 분석 기준이 존재하지 않는다. 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들의 학문 목적 글쓰기에 나타난 구어체와 문어체의 혼용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교육 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 Comparative Study about the Criteria for analyzing colloquiality of Korean and Chinese

Li, Qin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s in the criteria for analyzing colloquiality in Korean and Chinese at various levels, including phonological-morphological, lexical, syntactic, and discourse-pragmatic dimensions, and considers how these differences negatively affect Chinese learners’ use of the spoken and written distinction in Korean. The results show that at the phonological-morphological level, Korean can use morphological variation as a criterion for analyzing spontaneity, but this does not apply to Chinese. At the lexical macro level, Korean tends to be colloquial and written depending on its etymology, while Chinese is colloquial and written depending on the number of Chinese characters. At the micro level, the differences were analyzed through the terminological endings of Korean and Chinese. Syntactically, Korean is characterized by the omission of the accusative case and monomorphemic negation, whereas Chinese does not show a colloquial-grammatical distinction in word order and infinitive morphology. At the discourse-pragmatic level, Korean is characterized by strong ‘audience-conscious expressions’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udience, whereas Chinese does not have such a criterion for analyzing colloquiality due to its lack of elev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analysis, pedagog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to improve Chinese learners’ colloquialisms in academic writing.

Download PDF list




[02876] 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교로 16길 116(삼선동2가) 한성대학교 인문대학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이은희 교수 연구실 내     개인정보처리방침
E-mail : kochih@hanmail.net
COPYRIGHT ⓒ 한중인문학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