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598-0383

한중인문학연구, Vol.64 (2019)
pp.31~55

DOI : 10.26528/kochih.2019.64.031

한국어 교실 담화에서 구현되는 교사와 학습자의 교감적 친교 연구

배도용

(부산외국어대학교 한국어문화학부 교수)

이 연구는 한국어 교실에서 이뤄지는 교사와 외국인 학습자가 어떻게 교감적 친교를 이루 는지 그 양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이 연구는 Malinowski의 교감적 친교, Laver의 의사소통적 기능, Lyons의 상호작용 조정 정보에 그 바탕을 두고 있다. 주요 자료는 부산울산경남 소재 5개 대학교 부속 한국어학당에서 이뤄진 한국어 교사와 외국인 학습자의 교실 상호작용에서 얻은 것이다. 이 연구 결과는 한국어 교사와 외국인 학습자 사이의 교감적 친교와 그들이 유대감을 형성하는데 사용하는 표현들의 유형을 질적 연구로 보여준다. 이들 사이의 교감적인 친교는 유대감과 관련이 있으며 이를 통해 긍정적 친밀감 형성이라는 것이 입증된다. 곧 첫째, 교감적 친교 경로는 ‘대화 열기-대화 잇기-대화 닫기’의 순서로 이어진다. 둘째, 교감적 친교는 기술적 정보보다는 사회적 정보가 더 강하게 전달된다. 셋째, 교감적 친 교는 대화 열기와 대화 닫기에서 관습적 인사말과 의례적 인사말로 구분되며, 대화 잇기에서 는 관습적 맞장구와 의례적 맞장구로 구분된다. 넷째, 대화 열기에서 관습적 인사말이 드물게 나타났으며, 의례적 인사말 중 협의의 직시적 지시에서 현재의 시간 지시만, 광의의 직시적 지시에서는 자기와 상대 지향적 구현이 나타났다. 다섯째, 대화 닫기에서 관습적 인사말은 교 사와 학습자에는 나타나지 않았고 학습자 사이에서만 보였다. 의례적 인사말에서 협의의 직시 적 지시 가운데 미래 시간의 지시만 나타났으며 광의의 직시적 지시 가운데 중립적 구현만이 실현되었다. 여섯째, 대화 잇기에서 관습적 맞장구는 나타났으나 의례적 맞장구에서 시간과 장소 지시는 전혀 보이지 않았다. 반면에 광의의 직시적 지시에서는 자기와 상대 지향적 구현 이 나타났다. 일곱째, 교감적 친교는 ‘관습적+의례적’이라는 일정한 배열 순서를 갖는다.

A Study on the Aspect of Phatic Communion between Teachers and Foreign Learners in Korean Classroom Discourse

Bai, Doyong

The study aims to look at how teachers interact with foreign learners in Korean classroom discourse. And the study is based on Malinowski's Phatic Communion, Laver's communicative function, Lyons' interaction management information. The study results show Phatic Communion between Korean teachers and foreign learners, and the types of expressions they use to union. That is, first, Phatic Communion path leads in the order of ‘opening – keeping - closing phase of an interaction’. Second, Phatic Communion is delivered social information more strongly than technical information. Third, Phatic Communion is divided into conventional and ceremonial greetings in the opening and closing phase of an interaction, and in the keeping phase of an interaction, conventional and ceremonial back channel. Fourth, conventional greetings were rarely seen in the opening phase of an interaction, and only the present time reference appeared in the narrow meaning of the ceremonial greeting, the broad meaning of deictic reference showed self and other oriented tokens. Fifth, in closing phase, conventional greetings did not appear in teachers and learners and were only seen between learners. In the ceremonial greeting, only future time appeared deictic reference, and only neutral oriented reference was realized among the broad deictic reference. Sixth, a keeping phase of an interaction appeared in back channel, but no time or place reference were seen in ceremonial back channel. On the other hand, the broad deictic reference showed self and other oriented tokens. Seventh, Phatic Communion have a sequence of ‘conventional- ceremonial’.

Download PDF list




[02876] 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교로 16길 116(삼선동2가) 한성대학교 인문대학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이은희 교수 연구실 내     개인정보처리방침
TEL : 02-760-4381    E-mail : kochih@hanmail.net
COPYRIGHT ⓒ 한중인문학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