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598-0383

한중인문학연구, Vol.70 (2021)
pp.251~268

DOI : 10.26528/kochih.2021.70.251

‘싶다’ 구문의 의미-통사적 특성과 주어 실현 양상 분석

하성금

(용인대학교 중국학과 조교수)

본고에서는 ‘싶다’의 의미와 기능에 따라 ‘싶다’ 구문을 ‘용언+연결어미+싶다’ 유형, ‘용언+ 선어말어미+연결어미+싶다’ 유형, ‘용언+종결어미+싶다’ 유형, ‘의존명사+싶다’ 유형으로 나누 고 문장 유형의 의미-통사적 특성에 기초하여 주어의 실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일반적으로 연결어미 계열과 결합한 보조용언 구성은 주어 일치 구성의 특징을 보이고 종 결어미 계열과 결합한 보조용언 구성은 주어 불일치 구성을 이루면서 암시성 주어 구문의 특 징이 강하다. 즉 ‘-고 싶다’와 같은 ‘용언+연결어미+싶다’ 유형은 주어 일치 구문의 특징만 보이는데 선행용언의 주어와 보조용언 ‘싶다’의 의미를 전달하는 주어가 일치하다. ‘-면 싶다’ 와 ‘-려니 싶다’와 같은 ‘용언+선어말어미+연결어미+싶다’ 유형에서는 주어가 일치한 구성과 불일치한 구성의 특징이 모두 나타나며 ‘-거니 싶다’ 구성에서는 주어 일치의 구성이 제약을 받는 것으로 나타난다. ‘-다 싶다, -지 싶다, -ㄴ가 싶다, -ㄹ까 싶다, -나 싶다, -랴 싶다, -구나 싶다’와 같은 ‘용언+종결어미+싶다’ 유형은 주어 불일치의 양상을 보이며, ‘추측’의 주 체는 1차적으로 화자인 것으로 나타난다. ‘듯 싶다’, ‘성 싶다’와 같은 ‘의존명사+싶다’ 유형은 주어 불일치를 보이며, ‘추측’의 주체는 1차적으로 화자인 것으로 나타난다. 전체적으로 주어 일치의 경우 ‘싶다’ 구문의 주어는 일반적으로 1인칭이며, 의문문에서는 2인칭이, 전지적 시점에서는 3인칭이 주어로 나타난다.

An Analysis on the Meaning-Syntactic Characteristics of ‘싶다’ Structure and the Forms of Subject

He ChengJin

This paper categorized ‘싶다’ structure into ‘predicate+connective ending+싶 다’ type, ‘predicate+prefinal ending+connective ending+싶다’ type, ‘predicate+sentence-closing ending+싶다’ type, and ‘dependent noun+싶다’ type depending on meaning and function of ‘싶다’ and looked at the forms of subject based on meaning-syntactic characteristics of sentence type. Generally, auxiliary predicate combined with connective ending construction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 concord construction and auxiliary verb construction combined with sentence-closing ending construction forms subject discord structure with strong characteristics of suggestive subject structure. ‘predicate+connective ending+싶다’ type like ‘-고 싶다’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 concord structure only and the subject of preceding predicate agrees with the subject that delivers the meaning of auxiliary predicate ‘싶다.’ ‘predicate+prefinal ending+connective ending+싶다’ type like ‘-면 싶다’ and ‘-려 니 싶다’ shows both subject concord and subject discord and in ‘-거니 싶다’ construction, subject concord construction is restricted. ‘predicate+sentenceclosing ending+싶다’ type like ‘-다 싶다, -지 싶다, -ㄴ가 싶다, -ㄹ까 싶다, -나 싶다, -랴 싶다, and -구나 싶다’ shows subject discord pattern and the subject who ‘guesses’ is primarily a speaker. ‘dependent noun+싶다’ type like ‘듯 싶다’ and‘성 싶다’shows subject discord and subject who ‘guesses’is primarily a speaker. Overall, in case of subject concord, the subject of ‘싶다’ structure is generally the first person, the second person in interrogative sentence, and the third person in omniscient point of view.

Download PDF list




[02876] 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교로 16길 116(삼선동2가) 한성대학교 인문대학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이은희 교수 연구실 내     개인정보처리방침
TEL : 02-760-4381    E-mail : kochih@hanmail.net
COPYRIGHT ⓒ 한중인문학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