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598-0383

한중인문학연구, Vol.73 (2021)
pp.389~414

DOI : 10.26528/kochih.2021.73.389

한국어 의존 명사 ‘줄’ 구성의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

우상흠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본고는 대규모 한·중 드라마 병렬말뭉치를 이용하여 의존 명사 ‘줄’ 구성에 대응되는 중국 어 표현을 고찰하였다. 병렬말뭉치를 분석한 결과 [방법/능력]의 ‘줄1’ 구성은 주로 중국어 가능성 표현과 대응되 는데, 서술어로 ‘알다’를 취하는 ‘줄1’ 구성은 [능력]의 의미를 나타내는 중국어 능원동사 ‘会’, 서술어로 ‘모르다’를 취하는 ‘줄1’ 구성은 ‘会’의 부정 표현인 ‘不会’와 가장 빈번하게 대응됨을 확인하였다. [반사실성]의 ‘줄2’ 구성은 서술어로 ‘알다’만 취할 수 있는데, 주로 같은 [반사실 성]의 의미를 나타내는 ‘以为’류 중국어 표현과 대응 관계를 이루며, 이외에 ‘以为’와 유의 관 계에 있는 다양한 인지 동사와의 대응 관계도 찾을 수 있다. 한편, [사실성]의 ‘줄2’ 구성은 서술어로 ‘알다’를 취하는 경우와 ‘모르다’를 취하는 경우 서로 다른 대응 양상을 보인다. 즉, 서술어로 ‘알다’를 취하는 경우 주로 [앎]의 의미를 나타내는 ‘知道’ 등의 중국어 표현들과 대 응되는 데에 반해, 서술어로 ‘모르다’를 취하는 경우 [모름]의 의미를 나타내는 ‘不知道’ 등의 중국어 표현보다 [생각하지 못함]의 의미를 나타내는 ‘没想到’ 등의 중국어 표현과 더욱 빈번 하게 대응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서술어로 ‘알다’를 취하는 경우 개별 연결 어미와 공기할 때 그 연결 어미와 함께 하나의 중국어 표현과 대응되는 경향이 있지만, 서술어로 ‘모르다’를 취 하는 경우 그러한 경향이 보이지 않았다.

A Study on the Chinese Expression Corresponding to the Bound Nuon ‘Jul’ Construction in Korean Language

Yu, Xiangxin

This study uses the parallel corpus of TV dramas to analyze the Chinese expression corresponding to the bound nuon ‘Jul’ construction in Korean language. In modern Korean language studies, the bound noun ‘Jul’ is often divided into ‘Jul1’ and ‘Jul2’.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Jul1’ construction has the meaning of [method/ability], and it frequently corresponds to the modal verbs in Chinese. That is, when the predicate is ‘알다’, it mainly corresponds to ‘会’. On the contrary, when the predicate is ‘모르다’, it mainly corresponds to the Chinese ‘不会’. The ‘Jul2’ construction has two meanings: [counterfactuality] and [factuality]. The predicate of the ‘Jul2’ construction with the meaning of [counterfactuality] can only be ‘알다’, and it frequently corresponds to the expression of ‘以为’ in Chinese. The predicate of the ‘Jul2’ construction with the meaning of [factuallity] can be ‘알다’ and ‘모르다’. When its predicate is ‘알다’, it mainly corresponds to the expression of ‘知道’ which means ‘knowing’ in Chinese. When its predicate is ‘모르다’, it is different from the corresponding Chinese expression when the predicate is ‘알다’. That is, compared with ‘不知道’, it corresponds more to the expression ‘没想到’ meaning ‘unexpected’.

Download PDF list




[02876] 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교로 16길 116(삼선동2가) 한성대학교 인문대학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이은희 교수 연구실 내     개인정보처리방침
TEL : 02-760-4381    E-mail : kochih@hanmail.net
COPYRIGHT ⓒ 한중인문학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