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598-0383

한중인문학연구, Vol.73 (2021)
pp.439~460

DOI : 10.26528/kochih.2021.73.439

한국 자료에 나타난 ‘중국어’의 명칭어에 대한 고찰 -조선 시대 정부 문서와 근대기 신문을 중심으로-

田宇

(한국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수료)

이 글은 조선 시대 정부 문서와 개화기 신문 자료에 사용된 중국어의 명칭을 통시적으로 살펴본 것이다. 오늘날 중국인이 쓰는 언어를 지시하는 용어 전체를 아우르는 명칭으로서 주 로 ‘중국어’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조선 시대부터 살펴보면 시대에 따라 ‘중국어’를 지칭하 는 용어가 다양하게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들은 대체로 ‘화어(華語)·화언(華言)·화 문(華文)>한어(漢語)>관화(官話)>지나어(支那語)>중국화(中國話)>중국어(中國語)’ 순으로 나 타난다. ‘중국어’라는 명칭이 본격적으로 쓰이기 시작한 것은 1930년대에 들어서이다. ‘국가’라는 근대적 개념이 정립되지 않았던 시대의 중국은 ‘중국’이라는 이름 대신 ‘화하(華 夏)’로 불렸기 때문에 ‘중국어’를 나타내는 명칭도 주로 ‘화어’와 ‘화언’이 빈번히 사용되었음을 조선 시대의 정부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후에 화하족은 주변의 다른 민족들과 융합되어 한족이 되었다. 이때부터 한족이 쓰는 언어는 ‘한어’로 불리기 시작하였다. ‘한어’라는 명칭이 조선 시대부터 개화기까지의 각종 사료에서 빈번히 나타나며 이는 한국에서 사용하는 ‘중국 어’를 나타내는 명칭 중에 가장 오래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화어’와 ‘화언’에 비하면 ‘한어’라 는 명칭은 주로 “한어시험(漢語試驗)”, “한어교사빙용(漢語敎師聘用)”, “한어야학(漢語夜 學)”, “한어학교설립(漢語學校設立)”, “한어연구(漢語硏究)” 등의 중국어 교수·학습 상황에 서 많이 쓰이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19세기 말에 국내외 통치 정권의 잦은 교체와 더불어 중국어와 일본어의 영향으로 인해 중국어를 지시하는 용어도 혼동되어 쓰이기 시작한 것을 개화기에 발행된 신문과 중국어 교 과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1928년에 편찬한 최신선영사전과 1931년에 발행된 게일의 『한영대자전』에서 ‘중국어’가 표제어로 나타난 것을 고려하면 ‘중국어’라는 명칭어가 1930년 전후에 한국에서 보편화되어 정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A Study on Names Related to ‘Chinese Language’ in Korean Historical Materials -Focused on Government Documents of the Chosun Period and Modern Korean Newspapers

Tian, Yu

This article is a diachronic examination of the names of Chinese language used in government documents of the Chosun Dynasty and modern Korean newspapers. Nowadays, ‘Zhong Guoyu(中國語)’ is mainly used as a name that refers to Chinese language in Korean. However, from the Chosun Dynasty, there were many words that refered to ‘Chinese language’ according to the times, for example ‘Huayu(華語)’, ‘Huayan(華言)’, ‘Hanyu(漢語)’, ‘Zhong Guohua(中國話)’ and so on. The name ‘Zhong Guoyu(中國語)’ began to be used in the 1930s. Since China was called ‘Huaxia(華夏)’ instead of ‘Zhongguo(中國)’ in the era when the modern concept of ‘nation’ was not established, ‘Huayu(華語)’ or ‘Huayan(華言)’ was frequently used as a name of ‘Chinese language’. It can be found in government documents of the Chosun Dynasty. Since then, the Huaxia nation merged with other neighboring peoples to become the Han nation. Since then, Han nation’s language began to be named ‘Hanyu(漢語)’. The name ‘Hanyu(漢語)’ appears frequently in various historical sources from the Chosun Dynasty to the enlightenment period, and it can be said that it is the oldest of the names for ‘Chinese language’ used in Korea. As compared with ‘Huayu(華語)’ and ‘Huayan(華言)’, ‘Hanyu(漢語)’ was used in Chinese teaching and learning, for example “Chinese test(漢語試驗)”, “Chinese employment(漢語 敎師聘用)”, “Chinese night school(漢語夜學)”, “founding of the Chinese school(漢語學校 設立)”, “Chinese study(漢語硏究)” and so on.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due to the frequent change of government regime at home and abroad, and the influence of Chinese and Japanese language, the terms referring to Chinese started to be used confusedly as well. Considering that ‘Zhong Guoyu(中國語)’ appeared as a headword in 『The New Korean English Dictionary』(1928) and Gale’s 『Korean-English Dictionary』((1931), the term ‘Zhong Guoyu(中國語)’ became common in Korea in 1930s.

Download PDF list




[02876] 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교로 16길 116(삼선동2가) 한성대학교 인문대학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이은희 교수 연구실 내     개인정보처리방침
TEL : 02-760-4381    E-mail : kochih@hanmail.net
COPYRIGHT ⓒ 한중인문학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