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598-0383

한중인문학연구, Vol.77 (2022)
pp.57~86

DOI : 10.26528/kochih.2022.77.057

심연수 문학에 나타난 장소 체험과 의식의 상관성 연구

김윤정

(강릉원주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2000년 육필 원고가 발굴되면서 세상에 알려지게 된 심연수는, 문학적 자료의 양적 성과 및 타국 살이에 따른 의식의 다양성에 의거하여 대체로 민족시인이자 항일시인으로서 중국 연변과 그의 고향인 강릉 지역을 중심으로 연구되었던 인물이다. 그가 살았던 시기와 장소는 윤동주의 그것과 겹쳤고 그의 시에 표현된 이국인으로서의 정서는 그를 민족이라든가 디아스 포라의 관점에서 고찰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의 연구들은 그의 문학에 적지 않은 비중으로 자리하고 있는 체제 순응 의 흔적들을 고려할 때 보다 정치하고 섬세한 접근이 아쉬운 것이기도 하다. 습작기와 학습기 에 집중적으로 쓰여졌던 만큼 내용적으로 체제 수용적인 관점을 드러낼 뿐만 아니라 정서 및 표현 면에서도 다양할 갈피를 지니는 심연수의 작품들은 외적 요인에 앞서 텍스트 자체를 공 정하고 객관적으로 읽는 태도가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그것이 얼마나 객관성을 띠느냐 하는 점 역시 쉽게 평가될 것은 아닐 테지만, 동일 시기에도 서로 상반되는 의식을 드러낸다든가 표현의 기법 상으로도 암시와 상징으로 가득 차 있다는 특성은, 심연수 문학에 대해 더욱 철 저한 고증과 면밀한 고찰을 요구하는 대목이다. 이러한 태도는 심연수 문학의 사료적 가치를 의미 있는 것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게 하는 방편이기도 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고는 심연수 문학에 나타나 있는 현상적인 면에 주목하되 그것을 그가 거주하였던 장소를 중심으로 분류하여 읽음으로써 장소성에 따른 심연수의 의식 이 어떻게 형성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강릉에서 태어났지만 주로 타향에서 살았던 심연수 는 만주에서의 의식과 조선 본토 방문 시의 의식, 그리고 일본 유학 시의 의식에 있어서 다층 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심연수의 시는 각각의 장소에 지배되어 쓰여지는 가운데, 그곳에 내재되어 있는 상징 체계에 민감하게 반응하였음을 말해준다. 이는 그의 시적 내용의 다양성이자 정체성의 혼란으로도 볼 수 있을 것인바, 이러한 다기성에 대해서 내적이고도 정 밀한 고찰이 강제된다는 점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ce Experience and Consciousness in Sim Yeon-su Literature

Kim, Yunjeong

This paper is reading and classifying Sim Yeon-su’s poems based on the place where Sim Yeon-su has lived. Sim Yeon-su who had lived in from Manchuria to Japan showed specific consciousness in accordance with his living place. First, as a Manchurian Sim Yeon-su expressed active acceptance of Manchukuo's founding ideology, including the emotions of displaced people. And when he visited in Joseon and his home, Gangneung, he expressed national consciousness feeling pitiful at Joseon Dynasty’s history. In relation to placeness, the former emphasized the spatiality of the symbol beyond the space of perception, while the symbolism of Joseon was relatively weakened. However, in case of Japan Sim Yeon-su actively entered the symbolic system developed in Japan again. It means Sim Yeon-su paid attention to Japan's politics and policies and also engaged in Japan's literary policies. This indicates that while Sim Yeon-su's poetry was dominated and written according to each place, Sim Yeon-su reacted sensitively to the symbolic system inherent in each place. Sim Yeon-su responded to the system and actively sympathized with the symbol of the system.

Download PDF list




[02876] 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교로 16길 116(삼선동2가) 한성대학교 인문대학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이은희 교수 연구실 내     개인정보처리방침
TEL : 02-760-4381    E-mail : kochih@hanmail.net
COPYRIGHT ⓒ 한중인문학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