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598-0383

한중인문학연구, Vol.78 (2023)
pp.103~132

DOI : 10.26528/kochih.2023.78.103

15세기 말 문화교류 현장체험을 통한 한중 관료 문인의 타자인식 비교 - 崔溥의 『漂海錄』과 董越의 『朝鮮賦』를 중심으로 -

차해란

(산동과학기술대학교 한국어학과 부교수)

본고는 최부와 동월이 동시기에 각각 상대국을 견문하고 기술한 『표해록』과 『조선부』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대명인식과 대조선 인식은 어떤 동질성과 이질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한계를 내포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표해록』과 『조선부』는 15세기 말의 조 선과 명나라의 정치ㆍ경제ㆍ문화ㆍ외교ㆍ산천ㆍ풍속 등을 다각도로 조명하였다. 또한 기타 견문록에서는 접하기 힘든 귀중한 문헌자료를 체계적으로 기록하고 있어 상당한 문헌적, 학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최부와 동월은 유교적 윤리 의식면에서 문화적 동질성을 지닌다. 또한 그들의 의식 세계는 사대 외교를 전제로 한 중화 문명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다는 동질성도 지닌다. 최부는 『표해록』에서 사대의식을 바탕으로 조선과 중국을 일체화시키기도 하였으나 투철한 명분론을 주장하 여 유교적 이질성의 입장을 보였으며 사라진 중화의 유교문화 전통에 대한 아쉬움과 조선에 대한 강한 자부심을 보여주었다. 동월은 『조선부』에서 사대를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며 조 선의 문물제도 ․ 풍습 등에 대해 충분히 긍정하면서도 이 모든 것을 기자의 유풍에 돌렸다는 이질성을 갖고 있다. 최부는 명나라의 문명 정도는 조선에 미치지 못한다고 함으로써, 모든 것을 기자의 유풍으로 돌리는 동월과 이질성을 나타낸다. 하지만 최부는 명나라를 조선의 현 실을 반성하게 해주는 ‘타자의 이미지’로 객관화시키지 못했다는 한계점을, 동월은 시종 조선 을 중국과 대등한 문명국가로 인식하지 않았다는 한계점을 지닌다.

Comparison of Other Perceptions of Korean and Chinese Bureaucrats through Field Experience of Cultural Exchange in the 15th Century - Focusing on Choi Bu’s Pyohaerok and Dong Wol’s Joseonbu -

Che, Hailan

This paper takes Pyohaerok and Joseonbu composed by Choi Bu and Dong Wol based on their experience in the other country simultaneously as research objects to examine the homogeneity and heterogeneity of their understandings of the Ming Dynasty and Joseon and liminations. The two works provide an insight into politics, economy, culture, military, diplomacy, nature, customs of the two countries in the late 15th century, and contain valuable materials of great literature and academic significance that are rarely seen elsewhere. Choi Bu and Dong Wol had cultural homogeneity in terms of Confucian ethical consciousness. There was also homogeneity in their conscious world that was formed by Chinese civilization on the premise of Toadyism diplomacy. Choi Bu unified Joseon and China by Toadyism, but advocated a view taking China as foundation showing the heterogeneity of Confucianism, and he expressed regret over the disappearing Confucian cultural tradition of China and pride in Joseon. Dong Wol argued Toadyism rightful, though acknowledging Joseon’s cultural heritage system and customs, he attributed all to a relic of Ki Tse. Choi Bu advocated the civilization of the Ming Dynasty was inferior to that of Joseon, which has heterogeneity from Dong Wol who attributed all in Joseon to Ki Tse. However, Choi Bu failed to objectify the Ming Dynasty as an “image of others” to reflect the reality of Joseon, while Dong Wol never recognized Joseon as a civilized country equal to China.

Download PDF list




[02876] 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교로 16길 116(삼선동2가) 한성대학교 인문대학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이은희 교수 연구실 내     개인정보처리방침
TEL : 02-760-4381    E-mail : kochih@hanmail.net
COPYRIGHT ⓒ 한중인문학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