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598-0383

한중인문학연구, Vol.78 (2023)
pp.133~150

DOI : 10.26528/kochih.2023.78.133

『순언(醇言)』의 일상과 이상에 관한 연구 - ‘경계(境界)’의 범주를 중심으로 -

김태희

(강원대학교 철학과 박사과정)

유성선

(강원대학교 인문학부 철학전공 교수)

본 논문은 「『순언(醇言)』의 일상과 이상에 관한 연구-‘경계(境界)’의 범주를 중심으로」이다. 『순언』은 율곡 이이가 노자의 『도덕경』에서 발췌해 유학사상과 노자사상의 우주론적 합일을 중심으로 새롭게 구성한 주해서이자 연구서이다. 즉, 율곡이 다른 중국 유학자의 주해에서 발췌하고, 자신의 주해를 함께 달았으며, 『도덕경』 총 81장을 『순언』 총 40장으로 요약하고 정리하였다. 율곡은 『순언』의 시작을 ‘도체’로부터 시작하였고, ‘심체’와 자신을 다스림과 남을 다스림에 대한 논의로 구성하고 있다. 논자는 율곡의 『순언』이 유학적 관점의 『도덕경』 주석서라기 보다 『도덕경』을 연구한 후 율곡 자신의 우주론, 인성론, 수양론을 펼친 연구문헌으로 고찰하였다. 율곡의 일상과 이상의 시의성은 수기치인의 실현 방법으로 지켜야 할 대상은 윤리도덕이며 개혁대상은 법과 제도이다. 특히 율곡의 이상의 시의성이 『순언』 저술에 있었다면, 율곡은 일상의 법과 제도는 시대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혁해야 나라를 유지할 수 있다고 보고 변통을 주장한 것이다. 논자는 율곡의 일상의 철학실천적 포용성이 도덕규범의 사회적 실천을 통한 사회적 善의 확충노력일 것이라고 추정한다. 이를 한마디로 표현한다면 철학실천이라고 말할 수 있다. 유가의 수양론은 마음〔心〕과 몸〔身〕을 동시에 닦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심성수양은 철학치유와 불가분의 관계이다. 유학의 수양론 저변에는 예를 바탕에 두고 있기 때문에 예가 수반되는 치유법이 주효하다고 할 수 있다. 율곡은 『순언』을 통해서 유가와 도가의 일상과 이상에 관한 시의성으로 경계를 삼고자 하였다.

A study on daily life and ideal in 『Suneon』 - Centered on the category of boundaries -

Kim, Taehee

You, Sungseon

This thesis is 「A study on between everyday life and ideal in 『Suneon』-Centered on the category of boundaries」. 『Suneon』 is a commentary and research book newly composed by Yulgok Yi I, centering on the cosmological unity of Confucian thought and Lao-tzu thought, excerpted from 『Dodeokgyeong』 of Lao-tzu. In other words, Yulgok excerpted from the annotations of other Chinese Confucian scholars, added his own annotations together, and summarized and organized a total of 81 chapters of 『Dodeokgyeong』 into 40 chapters of 『Suneon』. Yulgok started his Observation with ‘conductor’, and it consists of discussions on ‘mind and body’ and governing oneself and governing others. Rather than a commentary on 『Dodeokgyeong』 from a Confucian perspective, the writer studied 『Dodeokgyeong』 and then considered Yulgok's own cosmology, personality theory, and self-cultivation theory. The timeliness of Yulgok's daily life and ideal is the method of realizing self-cultivation. The object to be observed is ethics and morality, and the object of reform is the law and system. In particular, if the timeliness of Yulgok's ideal was found in his writing of 『Suneon』, Yulgok insisted on changing the law and system of everyday life, believing that the country could be maintained only when it was continuously transformed according to the times. The writer presumes that Yulgok's daily philosophical and practical inclusivity is an effort to expand social good through the social practice of moral norms. In a word, it can be said to be philosophical practice. Confucianism's theory of self-cultivation suggests a specific way to cultivate the mind and body at the same time. Therefore, cultivation of mind is inseparable from philosophical healing. Since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in Confucianism is based on propriety, it can be said that the healing method accompanied by propriety is effective. Through 『Suneon』, Yulgok tried to set a boundary for the daily life and ideals of Confucianism and Taoism.

Download PDF list




[02876] 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교로 16길 116(삼선동2가) 한성대학교 인문대학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이은희 교수 연구실 내     개인정보처리방침
TEL : 02-760-4381    E-mail : kochih@hanmail.net
COPYRIGHT ⓒ 한중인문학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