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598-0383

한중인문학연구, Vol.78 (2023)
pp.151~171

DOI : 10.26528/kochih.2023.78.151

만해 한용운의 1930년대 조선불교 개혁과 동력 - 잡지 『불교』를 중심으로 -

지여정

(경희대학교 박사과정 수료)

이 글은 일제강점기에 발간된 불교 잡지 『불교』에 담겨 있는 한용운의 1930년대 조선불교에 대한 진단과 대응 방식을 따라가는 글이다. 한용운은 조선불교의 개혁과 조선불교가 세계적인 종교로 자리매김할 전망을 꿈꾸며 조선불교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발전을 도모할 방안을 제시하는 내용의 글을 신문·잡지에 글을 꾸준히 기고했다. 1930년대 불교사의 사장으로 취임하고 나서는 직접 편집에 개입하며 보다 적극적으로 글을 실었다. 따라서 『불교』는 한용운의 1930년대 조선불교에 대한 인식을 헤아려 볼 수 있는 중요한 통로라고 할 수 있다. 『불교』의 내용을 보면, 한용운은 당시 조선불교의 주체성을 위협하는 요인을 크게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으로 구분해서 인식했다. 내적으로는 일제의 사찰령에 휘둘리며 조선불교의 발전을 저해하는 불교계 인사들의 무지함을 문제점으로 꼽고 그에 대한 반성을 촉구했다. 이는 그가 1910년대에 펼쳤던 사회진화론적 사유의 연장선이라고 할 수 있다. 외적인 위협 요소로는 사회주의를 기반으로 한 반종교운동을 꼽았다. 반종교운동은 사회주의와 불가분의 관계임에도 불구하고 한용운은 두 항을 다른 방식으로 인식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하지만 반종교운동과 사회주의를 중생들을 제도하기 위한 도구로서 본다는 점에서는 같다. 한용운은 1910년대부터 1930년대에 이르기까지 지치지 않고 조선불교의 개혁을 주창한다. 고갈되지 않는 개혁을 향한 힘의 근원에는 불교가 있었다. 불교의 무한한 시간관을 바탕으로 정진과 인내의 시간으로 현재를 인식한 한용운은 야만의 시간을 버틸 수 있었고, 모든 것이 한 곳에서 난다는 일념의 사고방식은 조선불교의 주체성을 의심하지 않고 근대성을 추구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어주었다.

Manhae Han Yong-un's Reformation and Driving Force in Joseon Buddhism in the 1930s - Focused on the Magazine -

Ji, Yeojeong

This article contains Han Yong-un's diagnosis and response to Joseon Buddhism which was published in magazine during the 1930s when Joseon was under Japanese colonial. He constantly contributed articles to newspapers and magazines and diagnosed the current state of Joseon Buddhism. Also, he suggested promoting its development. After he became the president of Buddhist in the 1930s, he directly intervened in editing and participated fully. Therefore, is an important channel where his perception can be comprehended. According to , he recognized that two factors were threatening the subjectivity of Joseon Buddhism. Firstly, internally, he pointed out the ignorance of Buddhists who were swayed by the Japanese temple and hindered the development of Joseon Buddhism. This might be the extension of his social evolutionary thinking during the 1910s. Lastly, externally, he cited an anti-religious movement based on socialism. Although the anti-religious movement is inseparable from socialism, From the 1910s to the 1930s, he advocated the reform of Joseon Buddhism continuously. The energy for inexhaustible reform was Buddhism so it made it possible to endure the time of barbarism, and the thought that everything comes from one place made no doubt to get the modernity and subjectivity of Joseon Buddhism.

Download PDF list




[02876] 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교로 16길 116(삼선동2가) 한성대학교 인문대학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이은희 교수 연구실 내     개인정보처리방침
TEL : 02-760-4381    E-mail : kochih@hanmail.net
COPYRIGHT ⓒ 한중인문학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