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598-0383

한중인문학연구, Vol.82 (2024)
pp.185~213

DOI : 10.26528/kochih.2024.82.185

『西浦漫筆』 上5를 통해서 본 金萬重의 范增論 고찰 -蘇軾 <范增論>에 대한 반론 시각을 중심으로-

김연지

(단국대학교 한문학과 박사과정 수료)

김원중

(단국대학교 한문교육과 교수)

본고는 『西浦漫筆』上5에서 金萬重의 ‘范增’에 대한 해석을 검토함에 있어 蘇軾의 <范增論>에 대한 반론 시각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둔다. 필자는 김만중이 소식의 <범증론>을 논박 함에 있어 『史記』<項羽本紀>에서 범증의 ‘好奇計’ 기사를 논거로 제시하며 楚漢爭霸期 역사 를 형세적 관점에서 추론한 점을 확인했다. 기본적으로 범증이 초나라 項羽의 흥망과 직결된 중요한 謀臣의 위치에 있다는 점에 있어서 소식과 김만중 사이에는 미묘한 시각차가 존재한 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김만중은 범증이 항량에게 유세한 까닭에 대해 범증이 당초부터 芋氏가 아닌 項氏의 모신 이었다는 점을 거론하여 <항우본기>의 기록을 통해 입증했다. 또한, 범증의 ‘떠남[去]’ 문제 대한 소식 견해의 문제를 제기하고, 항우가 宋義를 죽이고 義帝를 시해한 일에는 범증이 모 의의 주동자로서 가담했을 가능성이 농후함을 추단했다. 따라서 범증을 항우의 ‘謀首’로 단언 하고, 당시 범증이 떠나야 할 이유가 없다고 반박했다. 이로써 김만중은 ‘天下之賢主’라는 의제의 평가 문제를 두고 비판적인 시각과 회의적 입장 을 견지하여 논지를 피력하였는데, 이는 의제가 군주로서의 자질이 부족하다는 시각이었고, 이에 따른 함의는 형세가 항우에게 기울었다는 시각에 기인한 것이다. 요컨대, 김만중은 역사 해석에 있어 기존의 명분론에 매몰되지 않고 고증을 바탕으로 한 형세적 관점을 취하고 있음을 본고를 통해 필자는 확인하였다.

A Study on the ‘Fan Zeng Theory(范增論)’ of Kim Man-joong through the Subsection 5. to Volume 1. of 『Seopomanpil(西浦漫筆)』 -Focusing on the Critical View of SuShi(蘇軾)'s -

Kim, Yunji

Kim, Wonjoong

In examining Kim Man-joong's interpretation of FanZeng in the Subsection 5. to Volume 1. of 『Seopomanpil(西浦漫筆)』, this paper noted that the theory of ‘Fan Zeng Theory(范增論)’ was a major topic of historical essay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fore, we compared the perspectives of SimaQian and SuShi to examine where Kim Man-joong's fundamental interpretation was. I confirmed that Kim Man-joong accepted SimaQian's narrative perspective centered on FanZeng's ‘haoqiji好奇計’ in ‘XiangYubenji(項羽本紀)’ and conducted a ‘Fan Zeng Theory(范增論)’ with his own perspective on the perception of the history of the a period of contention for supremacy in the Subsection 5. to Volume 1. of 『Seopomanpil(西浦漫筆)』. When it comes to the fact that FanZeng is in an important position of Mohsin, which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rise and fall of XiangYu, SimaQian, SuShi, and Kim Man-joong identified the distinction between them, and it was discovered that there was a subtle difference between them as to whether FanZeng should have left XiangYu or should not have left and stood by XiangYu to prevent the collapse of the Cho Dynasty. Considering the four ‘qiji奇計’ in ‘XiangYubenji(項羽本紀)’ that can grasp FanZeng's ‘haoqiji好奇計’ aspect, Kim Man-joong can confirm the developing aspect through the trend of historical events, and extracted SimaQian's narrative perspective according to the circumstantial perspective and used it to accept and transform SuShi's . Kim Man-joong revealed that FanZeng was the god of Xiang(項), not Yu(芋), from the beginning, and used the opinion of the news, but proved it through the record of ‘XiangYubenji(項羽本紀)’ as FanZeng campaigned for Xiangliang. In addition, he addressed the issue of military relations between FanZeng and Xiangliang, Xiang Yu, and Yidi from various angles, maintaining a critical view and skepticism over Yidi's evaluation of ‘tianxiazhixianzhu天下之賢主’.

Download PDF list




[02876] 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교로 16길 116(삼선동2가) 한성대학교 인문대학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이은희 교수 연구실 내     개인정보처리방침
TEL : 02-760-4381    E-mail : kochih@hanmail.net
COPYRIGHT ⓒ 한중인문학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