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598-0383

한중인문학연구, Vol.82 (2024)
pp.327~348

DOI : 10.26528/kochih.2024.82.327

可歌:宋元赋体建构的正统反向

黄卓颖

(南京师范大学 文学院,中国古代文学,副教授)

중국 문학계에서 부(赋)문체의 대해 일찍이 다음과 같은 정의를 내렸다. 예를 들어 刘向과 班固는 ‘노래하지 않고 낭송하는 것을 ‘부(赋)’라고 여겼는데, ‘부(赋)’라는 문체는 낭송을 사용 하며, ‘노래하지 않음’이라는 예술적인 함의를 갖는 것으로 보았다. ‘부(赋)’ 창작의 시각적, 회화적 효과를 강조함과 동시에 ‘부(赋)’ 읽기의 수식적, 표현적 특성을 강조해 온 것이다. 이 러한 정의는 위진(魏晋)으로부터 당(唐)에 이르기까지 많은 부(赋) 작가와 문헌에서 지속적으 로 인용됨으로써 중국 중고 시기 가장 권위 있는 정의가 되어 왔다. 그러나 송대와 원대 부(赋) 작가들은 부(赋) 문체의 구성 방향에 대해 논의하며, ‘노래할 수 있다’는 개념을 제시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개념은 당시의 '한부(汉赋)'와 '초소(楚骚)' 사이 의 패러다임 경쟁 그리고 운율 문학의 '노래화(歌化)'라는 두 현상에 근거한 것이다. 한대 이후 '노래하지 않는' 전통에 대한 의식적인 반성을 통해 사부(辞赋)는 '웅장한 아름다 움을 지닌 가시적' 문체에서 '부드럽고 완곡하며 사유 가능한' 문체로 탈바꿈하게 되었다. '한 부(汉赋)'의 본질에 대한 성찰을 통해 ‘겉치장’의 시각적인 이미지는 ‘시체(诗体)’그리고 관조적 인 심미적 가치로 재창조되었다. 이 과정은 '한부(汉赋)' 역사의 전환과 변화를 촉발했을 뿐만 아니라 송원(宋元) 문화의 ‘의 고(疑古) ‘와 ‘변고(变古)’의 경계를 확대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Singable : The Resonation to Orthodox for Constructing Fu(赋) Style during Song and Yuan of China

Huang, Zhuoying

Regarding Fu(赋), Some scholars from the Han dynasty firstly gave a definition from their own view. For example, Liu Xiang(刘向) and Ban Gu(班固) thought that reciting without singing was Fu, which uses recitation and has the artistic connotation of "not singing". It has been emphasized the visual and painterly effects of creating a Fu while emphasizing the descriptive and performative characteristics of reading. It became the most authoritative definition of Fu in the Middle Ages of China after being repeatedly cited from the Wei Jin to the Tang Dynasty. However, in the Song and Yuan dynasties, when people were discussing the way forward of Fu, they began to suggest a concept of ‘singable’. This conception was based on the dual facts of the paradigm struggle between ‘Han Fu(汉赋)’ and ‘Chu Sao(楚骚)’ and ‘becoming singable’ of rhymed literature at that time. By conscious reflection on the tradition of ‘unsingable’ since the Han Dynasty, ‘Han Fu’ was transformed from the style featuring the ‘magnificent beauty’ to the ‘soft, euphemistic and singable’ genre. Through conscious reconsideration about the nature of ‘Han Fu’, the visual and ornate literary style was reformed to 'poetic style’ and contemplative aesthetical value. This process not only triggered the turn and new change in the history of Fu, but also expanded the boundaries of ‘Doubting the Tradition(疑古)’ and "Changing the radition(变古)’ in Song and Yuan cultures.

Download PDF list




[02876] 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교로 16길 116(삼선동2가) 한성대학교 인문대학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이은희 교수 연구실 내     개인정보처리방침
TEL : 02-760-4381    E-mail : kochih@hanmail.net
COPYRIGHT ⓒ 한중인문학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