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598-0383
한중인문학연구, Vol.83 (2024)
pp.257~286
중국 대학 내 한국어 문장구역 수업 모형 설계 연구 - 협동학습과 플립러닝을 중심으로 -
본고는 중국 대학 내 효과적인 한국어 문장구역 교육을 이루기 위해 플립러닝과 협동학습 을 활용하는 한국어 문장구역 수업 모형을 개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문장구역은 통역사가 눈으로 출발어 텍스트를 읽으면서 도착어로 말하는 통역 방식으로서 순차통역과 동시통역에 비해 난이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또한 문장구역 훈련은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과 기본적인 통 역 능력 등을 신장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학부의 한국어 전공 학습자에게 적합한 교육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학부에서 한국어 문장구역 수업을 개설할 필요성을 확인 하고 중국에서의 한국어 전공 학습자의 요구를 파악하며 문장구역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다. 본고에서는 한국어 문장구역 수업을 단계별로 나누어 교사와 학습자의 역할을 설명하였다. 수업 전 단계에 교사는 ‘교육 목표 설정’, ‘문장구역 텍스트 선정’, ‘텍스트 분석’, ‘동영상 촬 영’, ‘소그룹 편성’, 학습자는 ‘동영상 학습’, ‘병렬텍스트 작성’, ‘문제점 정리’를 수행하는 것이 다. 수업 단계에 교사는 ‘질의응답’, ‘조 활동을 만들기’, ‘통역 활동을 모니터링하기’, ‘피드백 하기’, 학습자는 ‘조별로 통역하기’, ‘녹음하기’, ‘동료 피드백하기’, ‘질의응답’을 수행한다. 수 업 후 단계에 교사는 학습 성과를 확인하는 것이고 학습자는 ‘녹음 및 학습 내용 정리’, ‘조별 로 섀도잉 연습’, ‘통역일지 작성’, ‘자기평가서 작성’ 활동을 수행하는 것이다.
A Study on the Model Design of Korean Sight Translation Lesson in Chinese University - Focused on Cooperative Learning and Flipped Learning -
This paper aims to develop a classroom model for Sight Translation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by leveraging flipped learning and cooperative learning methods. Sight Translation, a mode of interpretation where interpreters orally translate source text while reading it, poses relatively lower difficulty compared to consecutive and simultaneous interpretation. Moreover, it can enhance learners’ Korean proficiency and basic interpretation skills, making it a suitable educational approach for Korean language majors in undergraduate programs. Consequently, this study validates the necessity of offering Korean Sight Translation classes at the undergraduate level, identifies the demands of Korean language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and designs a classroom model for Sight Translation education. The paper delineates the roles of teachers and learners in each stage of the Korean Sight Translation classes. Pre-class stages involve teachers setting educational objectives, selecting texts, analyzing texts, recording videos, and organizing subgroups, while learners engage in video-based learning, parallel texts, and summarizing questions. During class stages, teachers facilitate question-and-answer sessions, create team activities, monitor interpretation activities, and provide feedback, while learners participate in group interpretation, recording, peer feedback, and question-and-answer sessions. Post-class stages entail teachers assessing learning outcomes, while learners engage in activities such as summarizing recorded content, group shadowing exercises, writing interpretation journals, and self-assessment reports.